특수교육과 장애아동

생태학적 모델과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정의

뷰티풀제이 2021. 4. 21. 23:24
생태학적 모델 생태학적 견지에서 인간발달을 설명하고자 시도했던 Bronfenbrenner(1989) 의 이론에 따르면, 장애는 한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여러 요소가 개인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갈등에 따라 초래된 부조화 상태다. 그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이 [그림 6-2]에서 보는바 왜 같이 네 가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개인에게 가장 근접한 환경은 소구 조로서 개인이 여러 요소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주 양육자, 교사, 가정, 학교 등이 이 구조에 속하며, 실제로 아동은 소구 조의 여러 요소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교사는 속 구조 내에서 아동과의 상호작용에 부조화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고 기본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이해해야 하고, 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야 하며, 아동이 긍정적인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그들과의 상호작용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장애가 있는 아동이기 때문에 발달에 한계가 있다는 그릇된 믿음이나, 아동의 발달 수준이나 장애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부적절한 기대는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부정적으로 유도하기 쉽다. 실제로, Bronfenbrenner 가 각각의 구조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며, 또한 부조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는 요인은 각 개인의 '기대'와 '역할' 이다. 예를 들어, 한 가정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그에 따라 부모는 일반적인 기대를 하게 되고 자신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지에 대하여 일반적인 예측을 하게 된다. 그런데 아기가 발달상의 문제를 가지고 태어났다면 부모가 가졌던 기대는 어 끝나고 일반적인 부모의 역할 이외에 예상 밖의 임무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새로운 역할과 기대에 잘 적응' 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부부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는가, 아기의 양육을 도울 수 있는 가족 혹은 친인척의 자원이 있는가, 경제적 어려움이 없는가 등이 이러한 적응을 돕게 되는 요인이 될 것이며, 이러한 요인이 긍정적일수록 아기가 가진 문제는 최소화된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예상 밖의 문제에 대처하지 못하면 그 가정에 속한 모든 구성원의 생활이 부정적인 악순환을 거듭하게 되고 구성원 개개인은 물론 가족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이 크다. 인간발달 생태학의 두 번째 구조는 중간구조로서, 속 구조 내 구성원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아동의 교육을 담당하는 부모- 전문가의 관계, 전문가 간의 관계가 이 구조의 요소 다. 중간구조가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기술이 중요한 변수다. 중간구조는 교사가 아동의 교육 외에도 부모 상담 기술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을 잘 설명해 준다. 다음으로 외부구조는 이웃이나 의료기관, 사회단체 등의 환경요소를 의미하며, 대구조는 아동 이 속한 사회의 법률, 가치관, 문화, 사회제도 등을 의미한다. 1.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1) 개념의 변화 'autism(자폐증)' 이란 그리스어의 'self'라는 의미인 'autos'에서 유래된 것으로, 아동의 행동적 증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Banner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였던 Leo Banner는 1943년에 11명의 독특한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 대한 임 상보고를 하면서 초기 유아 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Banner(1943)는 이 보고서에서 초기 유아 자폐증의 증상 및 특성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였다. 즉, 초기 유아 자폐증은 유아기에 시작되며, 이들은 심하게 위축되어 있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일 뿐만 아니라 안기는 것을 싫어하여 부모에게조차 안기려 하지 않는다 혼자 있는 것을 더 좋아하며, 환경의 어떤 자극에 대하여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장난감이나 주변의 사물을 다루는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여 보통 아이들이 노는 방법과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아동은 정상적인 언어를 습득하지 못한다고 보고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