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과 장애아동

자폐성 장애

뷰티풀제이 2021. 4. 22. 01:24
자폐성 장애(이와 관련된 장애를 포함한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 (자폐성 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 표 7-3 「장애인복지법」상의 기준과 장애 등급표 소아가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신체표현 · 자기조절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별표 1의 장애인 종류와 기준 자폐성 장애인 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 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1 장애인의 장애 등급표 자폐성 장애인 국제질병분류 제10판(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version: ICD -10)의 진단 기준에 의한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 제1급 하고, 지능지수가 70 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인해 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ICD -10의 진단 기준에 의한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지능지수가 70 이하 제2급이며,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2급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지능지수가 71 이상 제3급이며, 기능 및 능력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A.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성 1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나타난다(예시들은 실례이며 증상을 총망라한 것이 아님, 본문을 참조하시오). 1. 사회적 감정적 상호성의 결함(예, 비정상적인 사회적 접근과 정상적인 대화의 실패, 흥미나 감정 공유의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 및 반응의 실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예, 언어적 ·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불완전한 통합, 비정상적인 눈 맞춤과 몸짓 언어, 몸짓의 이해와 사용의 결함, 표정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전반적 결핍)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예,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적응적 행동의 어려움, 상상 놀이를 공유하거나 친구 사귀기가 어려움, 동료들에 관한 관심 결여)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 심각도는 사회적 의사소통 손상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에 기초하여 평가한다(표 2를 참조하시오).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이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2가지 이상 나타난다(예시들은 실례이며 증상을 총망라한 것이 아님, 본문을 참조하시오). 1. 상동증적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성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예, 단순 운동성 상동증, 장 난감 정렬하기 또는 물체 튕기기, 반향의, 특이한 문구 사용)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또는 의례적인 언어나 비언어적 행동 양상(예, 작은 변화에 대한 극심한 고통, 변화의 어려움, 완고한 사고방식, 의례적인 인사, 같은 길로만 다니기, 매일 같은 음식 먹기)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예, 특이한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 또는 집착,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러운 흥미)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 반응, 또는 환경의 감각 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예, 통증/온도에 대한 명백한 무관심, 특정 소리나 감촉에 대한 부정적 반응, 과도한 냄새 맡기 또는 물체 만지기, 빛이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매료)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사회적 의사소통 손상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에 기초하여 평가한다(표 2를 참조하시오). C. 증상은 반드시 초기 발달 시기부터 나타나야 한다(그러나 사회적 요구가 개인의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증상이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나중에는 학습된 전략에 의해 증상이 감춰질 수 있다). D. 이러한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의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초래한다. E. 이러한 장애는 지적장애(지적 발달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지적 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자주 동반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장애를 함께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사소통이 전반적인 발달 수준에 기대되는 것보다 저하되어야 한다. 주의점: DSM-IV의 진단 기준상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장애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 장애로 진단된 경우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이 내려져야 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뚜렷한 결함이 있으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른 진단 항목을 만족하지 않을 때는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 장애로 평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