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과 장애아동
자폐스펙트럼 사회적 의사소통 질문지
뷰티풀제이
2021. 4. 22. 10:27
사회적 의사소통질문지 사회적 의사소통질문지(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는 Rutter, Bailey와 Lord(2008a)가 개발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검사다. 만 4세부터(정신연령 2세 이상) 성인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아동을 잘 아는 사람이 예 혹은 답하는 형식이다. SCQ는 '일생' 버전과 '현재' 버전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일생 버전은 개인의 발달력 에 근거하는 것으로 결과에 따라 진단 절차로 의뢰 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현재 버전은 최근 3개월 동안의 행동특성에 근거하며 치료와 교육계획에 유용하다. 두 가지 버전은 각각 ADI-R에서 추출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와 의사소통 그리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패턴 등의 3개 영역에 대한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에 따라 예 혹은 아니요가 1점으로 채점되는데, 일생 버전에서 15점 이상이면 자폐스펙트럼장 애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선별된다(Rutter et al. , 2008a), 4)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 학교의 Schopler 연구팀이 약 15년에 걸쳐 자폐 아동을 교육해 온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한 자폐증 선별 및 진단 도구다(Schopler, Reichler, & Renner, 1980). CARS는 2세 이상의 모든 연령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생애주기별 자폐적 특성을 민감하게 선별·진단해 내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 이 검사는 사람과의 관계, 모방, 정서 반응, 신체 사용, 물체 사용, 변화에의 적응, 시각 반응, 청각 반응, 미각·후각·촉각 반응 및 사용, 두려움과 또는 신경과민, 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 활동 수준, 지적 기능의 수준과 항상성, 일반적 인상 등의 15개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척도는 주제어와 관련된 내용을 아동이 어느 정도로 나타내는지를 평정하도록 1~4점의 점수별로 행동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고, 중간 정도로 행동을 나타낼 때 중간 점수(예: 2.5)도 부여할 수 있다. 1점은 정상발달의 아동이 나타내는 행동수준이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자폐적 성향이 강한 아동이 나타내는 행동수준 이다. 따라서 15~60점의 점수 범위 중 높은 점수를 받을수록 자폐적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연구자들은 15~29.5점을 자폐증이 아닌 것으로, 30~36.5점을 경증 및 중간 정도의 자폐증으로, 그리고 37~60점을 중증의 자폐증으로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5) 자폐증진단면담지-개정판 자폐증진단면담지-개정판(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은 Rutter, LeCouteur와 Lord(2003)가 개발한 자폐진단 검사도구로, 검사자가 아동의 양육자나 부모를 면담하여 자폐장애를 진단하는 반구조화 형식의 검사다. 만 2세 이상의 모든 연령군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검사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정도다. ADI-R은 면담자 중심의 표준화된 면담 지로서 면담 정보를 점수 체계에 맞추어 점수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면담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워크숍에서 훈련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ADI-R은 언어와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반복적이고 제한된 관심 및 상동적인 행동 등의 3개 주요 행동 영역에 초점을 맞춘 9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은 3개의 주 된 영역에 대해 0~3점으로 주어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영역의 문제가 많음을 의미한다. 6) 자폐증진단관찰스케줄 자폐증진단관찰스케줄(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은 Lord 등(1989) 이 개발한 자폐 진단검사다. ADI-R이 양육자나 부모의 면담을 통해 자폐 문제를 진단하는 것에 비해, ADOS는 대상 아동을 직접 면담하거나, 표준 활동으로 미리 계획된 사회적인 상황을 제공한 후 놀이를 함께하면서 아동의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반 복적인 관심이나 행동 양상을 직접 관찰하여 평가하는 검사다. 5~12세이면서 최소 3세 이상의 언어표현 능력을 갖춘 아동에게 사용이 가능하다. 자폐성 장애의 진단 가능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보다 어린 나이의 유아들을 위해 ADOS보다 더 간단한 활동과 놀이를 사용하여 검사하는 PL-ADOS(Pre-Lingustic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가 개발되었고(Dilavore, Lord, & Rutter, 1995), 2012년에는 12~30개월의 영아 모듈이 추가된 ADOS-2도 개발되었다. ADOS는 연령별, 언어 수준별로 사용이 구분되는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ADOS-2 는 5개 모듈), 이를 요약하면 〈표 7-8)과 같다. ADOS의 채점은 보통 0, 1, 2점으로 이루어진다.